porter.kr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characteristic(특성)에 관하여 > porter7 | porter.kr report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characteristic(특성)에 관하여 > porter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orter7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characteristic(특성)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3 22:11

본문




Download :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특성에 관하여.hwp




그리고 이 두 반열을 통칭하여 양반이라 하였다. 그러므로 관제의 기초가 되는 고려초기의 官階에 있어서도 문・무의 구별이 없던 신라 및 泰封의 官階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동쪽에 서는 班列을 東班 또는 文班, 서쪽에 서는 반열을 西班 또는 武班이라 하였다. 하나는 관직제도상의 文班(東班)과 武班(西班)을 지칭하는 관념이요, 다른 하나는 고려・조선시대의 지배신분층을 지칭하는 관념이다. 고려는 혈통만을 중시하던 신라의 骨品制를 타파하고 보다 광범한 在地豪族群을 국가관료로 등용하는 집권적 양반관료체제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직제도상의 문・무반이라는 의미의 양반관념은 이미 관료체제가 정착되기 스타트한 고려초기부터 사용되어 왔다.
문반과 무반을 처음으로 구별한 것은 경종 1년(976)에 실시된 田柴科에서부터였다.
그러면 먼저 문・무반을 지칭하는 양반관념에 대하여 알아 보자. 국왕이 朝會를 받을 때 文臣들은 동쪽에, 武臣들은 서쪽에 서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중 관직제도상의 문・무반을 지칭하는 관념이 양반관념의 始源이었다. 「高麗史」 卷 78, 志 32, 食貨 1, 田制 田柴科.
이 때 문반・무반・잡업의 구분이 단삼층이하에만 있고 자삼층에는 없었던 까닭은 아마도 자삼층이 고려 건국초기의 豪族등의 혈족・동족집단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조선초기의사회와신분 ,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특성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설명



그럼 reference(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Download :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특성에 관하여.hwp( 60 )


순서
레포트/기타

1. 양반의 관념 1

2. 양반의 성립과정 4

3. 양반의 제특권 8

1) 문음의 특전 8
2) 과거의 특전 11
3) 관직의 특전 14
4) 군역의 특전 15

① 수전패와 무수전패 16
② 양반직업군 18
③ 귀족숙위군 20

5) 토지소유의 특전 22

① 양반의 수조지 22
② 양반사유지에의 특전 24

4. 양반의 신분적 지위 26


표 차 례

표(1) 문・무3품이상의 자손 음직표 9

표(2) 문・무과 급제자 초자・초직표 13

표(3) 문・무과의 병과・동진사・산관직 제수표 14




양 반

1. 양반의 관념

양반이란 용어는 두 가지 관념을 가지고 있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省略)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1.gif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2.gif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3.gif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4.gif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5.gif 조선초기의%20사회와%20신분구조%20양반의%20특성에%20관하여_hwp_06.gif
조선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양반의 characteristic(특성)에 관하여
조선초기의사회와신분
,기타,레포트





다. 경종전시과에서는 고려초기의 官階를 기준으로 모든 職散官을 公服의 빛갈에 따라 紫衫・丹衫・緋衫・綠衫의 네 단계로 나누고 紫衫層을 제외한 단삼・비삼・록삼층을 文班・武班・雜業으로 구분하여 각 品에 따라 田柴를 지급하였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건국 초창기부터 완벽한 양반관료제를 수립하기는 어려웠다.
전체 6,02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orte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