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ter.kr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 > porter4 | porter.kr report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 > porter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orter4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5:18

본문




Download :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hwp




또 기부생장지의 발생이 적은 품종은 초기의 생장지를 절곡하는 방법으로는 目標(목표)본수의 체화모지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분지속성 이나 지제부 생장지 발생의 다소 등의 품종속성 에 주의하여 충실한 채화모지를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필요하신 분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자연과학레포트 ,


1. 직립 수형(관행수형)

2. 아칭수형

3. 하이랙 수형
1) 수형유인
2) 전정

4. 절곡식 수형
1) 동화전용지 확보
2) 수확위치
3) 전정

정식 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심을 반복하여 수형을 만드는 종래의 방법에다가 처음 발생한 생장지를 쇠스랑모양으로 분지시킨 후에 나무의 지제부에서 절곡하고 강한 기부생장지를 발생시켜 이것을 여러번 적심하여 모지를 만드는 방법이 있따
암면재배는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절곡한 가지의 고사가 적고 강한 생장징의 발생본수가 많으므로 이러한 방법이 이용된다 어느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적심 후의 맹아수는 토양재배보다 많다.

2. 아칭수형

아칭수형은 암면재배용의 높은 벤치에서 정식 후 일정기간동안 발생하는 가지를 모두 절곡하여 동화전용가지로 활용하고, 이 가지들이 생산한 광합성산물을 정아우세성에 의하여 나무의 기부를 집중시켜 기부에서 강하고 튼튼한 생장지를 발생하게 하여 고품질 절화장미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광합성을 전담하는 가지를 별도로 절곡하므로 다음의 개화를 위하여 가지와 잎을 별도로 남겨놓지 않아도 되기 때문일것이다 아칭수형관리의 長點과 단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레포트/자연과학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


다.
2) 언제나 기부에서 채화하므로 절화장이 길고 볼륨이 있따
3) 작업성이 좋고 전정이 필요없다.
5) 재배방법이 간단하다.
<長點>
1) 포기를 유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채화개시까지의 기간이 짧다. 특히 저온이면서 흐린 날씨에는 생장지수가 감소함
2) 벤치의 설치비가 많이 소요된다 …(drop)


순서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에 대해 여러 수형관리법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整理) 했습니다. 필요하신 분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기존의 직립수형에서와 같이 생장지의 10~15cm를 남기고 수확하는 것이 아니라 절화의 기부에서 채화하기 때문에 절화품질이 우수하다.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단점>
1) 절화수량이 적다.
4) 적아작업이 필요없다.
6) 단위면적당 소요노동력이 적다. 품종에 따라서는 미숙지적심에서도 2~3개의 눈이 맹아하는 경우가 있으며 적심 후 방임하면 굵은 채화모지를 확보할 수가 없다.

장미양액%20-%20암면재배시%20수형관리_hwp_01.gif 장미양액%20-%20암면재배시%20수형관리_hwp_02.gif 장미양액%20-%20암면재배시%20수형관리_hwp_03.gif

,자연과학,레포트
설명

Download :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hwp( 39 )


장미양액 - 암면재배시 수형관리에 대해 여러 수형관리법의 특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전체 6,32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orte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