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3:16
본문
Download : 대한제국과독립협회.hwp
[참고자료] 『한국사연구입문』3,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풀빛 ,1997.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연구동향
대한제국, 독립협회, 독립협회 세력
Download : 대한제국과독립협회.hwp( 88 )
순서
(1) 주도세력과 추진주체
[한국근대사]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독립협회를 다룬 연구는 양적으로 상당한 수에 달하지만 막상 어떤 인물과 세력들이 그것을 주도해 갔는가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아울러 독립협회가 주로 미국과의 관련 속에서 성장해온 친미관료집단, 즉 정동구락부 세력이 왕실과의 긴밀한 교감 하에서 독립문 건립추진위원회의 성격을 가지면서 창립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독립협회가 갑오개혁의 비주제성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이 주동한 것이며 외세에 편승한 집권을 거부하고 스스로 재야를 택한 개화파가 중심이 된 단체라고 주장하였다.
한편 최근의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가 사상적 기준과 인물의 분류를 모호하게 취급하였으며, 또한 자료(data)의 신빈성에 문제가 있음을 제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독립협회의 활동을 1898년을 전후로 하여 크게 계몽운동기(啓蒙運動期)와 개혁운동기(改革運動期)로 구분하는 가운데 각 시기의 주도세력에 마주향하여 검토하는 한편 운동노선의 change(변화)를 추적하였다. 1990년에 들어오기까지도 1970년대에 나왔던 독립협회의 창립과 조직을 다룬 연구만이 유일한 것이었다. 한편 독립협회의 활동을 네 시기로 나누었다.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에 관한 연구입니다. 이때 신지식층 안에는 서구市民사상의 영향을 받은 세력과 개신유학(改新儒學)의 전통을 배경으로 동도서기파(東道西器派)에서 발전한 흐름을 이어받은 세력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이다.
개관
대한제국과 독립협회에 관한 연구입니다. 독립협회의 창립을 주도한 세력 안에 건양협회 계열과 개별적인 독립파 관료세력이라는 범주가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반면에 광무개혁의 실체를 부정하는 논자의 경우에 어떠한 민족성, 근대성을 찾을 수 없는 친로수구파(親露守舊派)라고 규정하였다. [참고reference(자료)] 『한국사연구입문』3,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풀빛 ,1997.
다. 창립 당시의 고급관료들이 주도하던 단계에서 민중진출기, 민중주도기, 민중투쟁기를 거치면서 민중을 대변하는 신지식층이 주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독립협회를 창립한 세력을 건양협회(建陽協會)계열, 정동구락부(貞洞俱樂部) 및 개별적인 독립파 관료세력의 세 범주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3) 한국 근대 변혁운동에서의 위치





(2) 개혁이념의 내용과 지향
처리해야할문제와 展望(전망)
설명
한편 대한제국의 개혁주체에 대한 연구성과는 양적으로 대단히 빈약한 실정이다. 1970년대의 광무개혁론자들의 경우 추진주체에 마주향하여 는 구체적인 분석을 수행한 바는 없었으나 황실과 그 측근 관료들을 설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