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현대소설 / 제 3장 문학 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0:59
본문
Download : 현대소설, 제 3장 문학연구에.hwp
의식(언술레벨) - 현상계는 오성에 의해 재구성되어 인식된다는 입장에서, 진실이 의식에 있다 믿고 의식을 표현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 역시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된다는 반론을 받아 문학 연구는 독자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언어가 기능한 결과 만들어진 요소는 세계(스토리), 세계가 제시되는 과정(플롯), 세계를 제시하는 주체(내레이터)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이란 내레이터가 의식의 움직임을 서술한 것으로 언술이 중요시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작자는 연구자의 의식에 잡힌 작가이며, 결국 연구자가 한 작가의 문학을 단위로 연구하는 한, 방법은 작가론이 되며 이 경우의 작가론은 작가가 아니라 작가의 문학을 통해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독자의 참여로 작품이 역할을 다하게 되며, 텍스트가 독자에 의해 작품으로 전환되는 것이다.순수의식(기호레벨) - 순수의식은 지향성을 가진 의식이다. 그러나 스토리와 플롯이 구분되면서 신 아리스토텔레스학파는 현실의 구성을 중시하였다.3. 문학 연구에 있어서 작자의 개념(槪念) 연구자들은 작자만이 작품을 다 알기 때문에 작자를 통해 작품을 파악하려 했으나 작자의 모든 것을 알 수 없으며 단지 작품만을 알 뿐이라는 반론으로 작품 자체가 연구 대상이 되었다...





[인문사회] 현대소설 / 제 3장 문학 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
순서
설명
다. 2.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 개념(槪念)과 문학연구방법 문학은 언어를 재료로 하므로 언어는 기능적인 차원에서 문학의 본질과 관련된다. 따라서 작가는 현실을 포착하면 되었고,「생=예술」이었다. 이는 언어라는 기호를 해석할 수 있는 사람만 영향을 받는다는 언어관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독자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문학의 본질은 스토리·플롯·내레이터의 본질파악을 통해 규명될 수 있다.
Download : 현대소설, 제 3장 문학연구에.hwp( 58 )
인문사회 현대소설 / 제 3장 문학 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
제 3장 문학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상으로서...
제 3장 문학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상으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제 3장 문학연구에서의 스토리· 플롯· 내레이터1. 작품 연구 대상으로서 작자의 표현대상현실(기술레벨) - 예술은 이데아를 모방한 현실의 재모방으로 진실과 멀다고 본 플라톤에 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을 통해 이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보았다.